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2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계산법

by 호율안 소소한 이야기 2023. 8. 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어김없이 유용한 정보를 드리는 호율안 소소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주휴수당은 무엇이며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유급휴일에 받는 돈을 말합니다. 단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근로자에 대한 조건이 있습니다. 

 



◇ 주휴수당

1주일에 15시간 이상, 하루에 3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권리로 유급휴일을 말합니다.

해당 주휴수당에 대한 내용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도 나와있는 내용인데요,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 휴일을 보장해야 한다고 나와있습니다. 

 



◇ 근로기준법 연차 발생기준

1주에 근로일과 같은 하루 임금을 지급해야하며, 이 주휴수당은 아르바이트, 임시직, 계약직 관계없이 근로자라면 모든 사람이 받을 수 있습니다. 

◇ 2023년 주휴수당 폐지 논란

2023년 주 52시간 근무제 관련하여 주휴수당은 폐지가 아닌, 개편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3월 6일 고용노동부는 비상 경제장관 회의에서 근로시간 제도 개편과 관련한 내용을 확정했습니다.

 

 



위 근로기준법에 따른 조항에 대하여 주휴수당은 만약 주 5일을 근무했을 때 일하지 않는 이틀 중 하루는 주휴수당이 지급되고 하루는 무급으로 지급됩니다. 

◇ 최저시급 월급 계산방법

2023년 주휴수당이 폐지된다는 논란은 지속되어왔습니다. 주휴수당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근로자의 월급이 줄어드느냐 지켜지느냐는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주휴수당이 폐지될 경우 임금이 16.7% 삭감될 수 있습니다. 만약 주휴수당이 폐지될 경우 유급주휴일이 1일인 노동자가 209시간의 임금을 받다가 174시간에 해당하는 임금만 받게 되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최저시급ㅇ로 월급을 환산했을 때 주휴수당이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임금입니다. 

 



주휴수당 포함시 한 달 월급(최저시급) : 2,010,580원

주휴수당 미포함시 한 달 월급(최저시급) : 1,673,880원

 



◇ 주휴수당 지급기준

주휴수당을 받고 싶다면 계약에 소정 근로시간이나 근로일수가 지속적으로 일을 했는지가 중요합니다. 소정 근로시간과 근로일수를 충족했어도 지속적인 근로가 정해지지 않았다면 주휴수당을 받을 의무가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