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차수당2

연차발생 기준 및 연차계산법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연차는 법적으로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간의 유급휴가를 주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연차는 어떻게 생기는지 연차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연차란? 회사에 근무하게 되면 연차 발생기준이 있습니다. 열심히 일하고 받는 보상입니다. 이 기준은 근로기준법에 나와있습니다. 1년에 80% 이상 근무할 경우 1개의 연차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유급 휴가로 근무를 하지 않아도 월급에 영향이 있지 않습니다.. 보통 1년이 되면 11개의 연차를 쓸 수 있고 3년 이상 근속 시 하루에 유급 휴가가 추가로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본인의 연차가 몇개인지도 파악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회사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우리가 알고 있어야 하고 챙겨야 쉬지 않더라.. 2023. 11. 6.
연차수당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오늘도 어김없이 유용한 정보를 드리는 호율안 소소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연차수당 계산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연차수당은 회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연차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현금으로 지급 받는 금액을 말합니다. 내가 선택해서 연차수당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회사가 너무 바빠서 의도치 않게 연차를 사용하지 못하여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경우를 모두 통합하여 연차수당 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단하게 계산하는 홈페이지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연차수당 계산방법 하루의 통상임금과 사용하지 않은 남은 연차 날짜를 곱해주면 됩니다. 통상임금 월급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금액을 말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궁금한것은 하루치 통상임금입니다. 여기서 약간 헷갈리실 수 있는데, 하루치 통상임.. 2023.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