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2

증여세율 및 증여세 계산방법

by 호율안 소소한 이야기 2023. 8.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어김없이 유용한 정보를 드리는 호율안 소소한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증여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누군가에게 재산이나 돈을 받는 일이 있다면 정말 기분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 받은 돈도 세금이라는걸 내야 합니다.

증여세란 부모나 가족등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받을 경우 그 재산에 대한 세금을 부과해야 합니다. 오늘은 증여세 신고기한과 과세 대상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신고기한

증여세는 법정기간에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와 납부를 해야 합니다. 신고세액의 30%를 공제받을 수 있으며 세무서 또는 국세청 홈택스에서도 신고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증여일이 1월 1일이라면 4월 1일까지 증여세를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납부 대상자

앞서 말씀드렸듯이 부모나 가족등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받았다면 그 재산에 대한 증여세를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증여세율

 



과세표준은 1억 원 이하의 경우 10%이지만 30억 원을 초과할 경우 4억 6천만 원까지 50% 누진 공제액을 제외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는 과세표준에 증여세율을 곱하여 계산됩니다. 그 이후 누진공제액을 빼면 됩니다. 

내가 만약 10억을 증여받았다면, 10억(증여받은 금액) - 5천만 원(증여, 세 면제한도액) = 9억 5천만 원(과세표준)입니다. 9억 5천만 원은 30% 의 증여세율로 확인되며 누진공제액이 6천만 원이기 때문에 9억 5천만 원 X 30% 에서 공제액인 6천만 원을 빼면 됩니다. 따라서 10억에 대한 증여세는 225,000,000원입니다. 

 



간편 자동계산

증여세를 신고할 때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증여세 간편 계산을 통해 내가 내야 할 증여세를 간단하게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